이번 글에서는 제가 한 달 동안 코드트리를 활용해 코딩 테스트를 준비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. 현재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백준이나 프로그래머스와는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,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솔직하게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.
코드트리를 선택한 이유
사실 알고리즘 공부를 시작할 때 가장 힘들었던 건 "도대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?" 라는 고민이었어요.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몇 번 풀어봤는데, 개념도 제대로 모르는 상태에서 문제부터 풀려니 너무 막막하더라고요. 그러던 중 운이 좋게도 글또에서 코드트리와 함께하는 이벤트를 준비해주셔서 참여하게 됐습니다. 사실 코드트리라는 플랫폼은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, 실제로 사용해본 건 이번이 처음이라 제 솔직한 후기를 남겨보려고 합니다!
코드트리 플랫폼 특징
문제 구성


코드트리는 다양한 문제 유형을 제공하며, 알고리즘별, 난이도별, 실전 대비 문제 등으로 카테고리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. 특히, 초급자부터 고급자까지 단계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.
난이도 체계

코드트리는 초급, 중급, 고급 등으로 난이도를 나누고 있으며, 각 난이도별로 세분화된 문제가 제공됩니다. 초급 단계에서는 기초 개념과 간단한 구현 문제를 풀어볼 수 있고, 중급부터는 알고리즘을 활용한 문제들이 등장하며, 고급에서는 복잡한 응용 문제를 다루게 됩니다.
UI/UX

코드트리의 인터페이스는 직관적이며, 문제 풀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 또한, 실시간 코드 실행 및 디버깅 기능이 제공되어 편리합니다. 챕터별 학습 과정에서 개념 설명 후 바로 연습문제를 풀 수 있는 구조도 학습 효율성을 높여주는 요소입니다.
한 달간의 학습 여정
처음에는 코드트리의 학습 방식과 인터페이스에 적응하는 데 시간을 투자했습니다. 기본적인 플랫폼 기능을 익히고, 기초 문제를 풀면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첫 단계였습니다.
이후, 난이도를 조금씩 높이며 특정 알고리즘을 집중적으로 학습했고, 문제 해결 패턴을 익히는 데 집중했습니다. 학습이 중반에 접어들면서 응용 문제에 도전하며 시간 복잡도를 고려한 최적화 연습도 병행했습니다. 마지막 단계에서는 고난도 문제를 풀면서 실전 대비 연습을 진행했습니다. 특히, 유형별로 학습을 진행한 뒤 빠른 테스트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점검하며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습니다.
코드트리의 장점
- 챕터별 개념 설명 제공으로 초급자도 쉽게 학습 가능
- 실전 대비 문제와 알고리즘별 문제 구성이 체계적임
- UI/UX가 직관적이며 학습에 최적화됨
- 유형별로 기본 개념을 정리해주어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
- 하나의 유형을 학습할 때, 핵심 개념을 먼저 익힌 후 연습 문제와 테스트를 통해 실력을 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
코드트리의 단점
- 백준이나 프로그래머스보다 상대적으로 문제 풀이 커뮤니티가 작음
- 일부 문제는 난이도 표시가 주관적일 수 있음
- 실전 문제의 양이 다른 플랫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음
다른 플랫폼과의 비교
vs 백준
- 백준은 다양한 난이도의 방대한 문제를 제공하지만, 문제 난이도를 스스로 조절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
- 코드트리는 체계적인 커리큘럼이 있어 초급자도 학습하기 쉬움
vs 프로그래머스
- 프로그래머스는 문제를 레벨별로 제공하지만 개념 학습이 따로 필요함
- 코드트리는 챕터별 개념 설명과 연습문제가 함께 제공되어 학습 효율이 높음
추천하는 학습 방법
- 초기 접근 방법: 개념 설명이 포함된 챕터별 문제부터 시작
- 효율적인 문제 선택 방법: 기본 개념을 익힌 후 알고리즘별 문제 풀이 진행
- 학습 시간 배분 전략: 하루 최소 1~2시간 투자하여 꾸준한 학습 유지
- 오답 노트 활용법: 틀린 문제를 정리하여 개념과 해결 방법 복습
- 유형별 학습을 진행한 후 빠르게 테스트 문제를 해결하며 전체적인 유형을 익히는 방식 활용
- 연습 문제를 전부 다 풀지 않아도 유형별 핵심 개념을 익히고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완할 수 있음
총평
한 달간 코드트리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코딩 테스트를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. 특히 개념 학습과 문제 풀이를 함께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었으며, 저와 같은 초보자들에게 추천할 만한 플랫폼이라고 생각합니다 :)
마치며
코드트리로 꾸준히 알고리즘 학습을 이어가려고 합니다. 사실 알고리즘에 대한 흥미가 뚝 떨어져있는 상태였는데 코드트리를 하면서 알고리즘에 대해 접근성이 올라갔습니다 ㅎㅎ 코드트리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 글또 운영진 분들에게 감사드리며 저는 한달 후 후기로 돌아오겠습니다.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-Query] Query Key 관리와 개선 경험 (0) | 2025.02.25 |
---|---|
레거시 코드를 React Query로 개선한 리팩토링 이야기 (0) | 2025.02.21 |
[Tailwind CSS] gap vs space 유틸리티의 차이점 이해하기 (0) | 2025.02.01 |
[데이터베이스] One-to-Many와 Many-to-Many 관계 (0) | 2025.01.17 |
[nuqs 라이브러리] Nuqs 라이브러리 가이드: URL 쿼리 파라미터 관리와 최적화 (0) | 2024.12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