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글을 쓰게 된 계기는 설계를 진행하면서 용어들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정리하게 되었다.
기본 설계 과정은
1. 아키텍처 설계 : 정보 시스템을 서브시스템으로 분할하기 위한 기능 목록과 인프라가 되는 하드웨어, 네트워크, SW 구성 요소 파악
2. UI 설계 : 화면의 레이아웃, 화면의 관계 및 전환을 설계
3. 데이터 설계 : 코드화할 데이터가 있다면 코드 설계와 데이터가 어떤식으로 저장되고 관리 될 것인지 논리 데이터 설계
4. 외부 인터페이스 설계 : 다른 시스템과 연동될 때 주고받는 데이터의 형식과 호출 방식을 설계
이렇게로 나눌 수 있는데 이제부터 하나씩 정리를 시작해 보겠다!!!
아키텍처 설계
- 컴포넌트 구성과 연계 방법
-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(SOA,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사용해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)를 적용할지를 결정해야 함
- 처리 형태의 선택
- 온라인 처리,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, 일괄 처리, 분산 트랜잭션 처리 등 어떤 형태로 할 것인지 선택
- 응용 프로그램 정책
- 온라인 처리 및 일괄 처리의 연동 방법, 일괄 처리 리런 정책, 2단계 커밋, 서버 체크/단말 체크 분리, MVC의 각 층을 배치하는 방법, 단말 측 응용 프로그램을 가벼운 클라이언트로 할 것인지 무거운 클라이언트로 할 것인지 등 웹 또는 앱으로 개발하는지에 대해서 정책을 정의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프로그램 설치 (0) | 2024.06.17 |
---|---|
Git commit, 원격 repo, .gitignore (2) | 2024.06.14 |
React Query (0) | 2023.11.13 |
[React] React에서 모달을 활용한 날짜와 시간 선택 관리하기 (0) | 2023.11.12 |
TypeScript를 활용한 안전한 클라이언트-서버 통신 및 인증 관리 (0) | 2023.11.10 |